알지만 깜박하는 약물 복용, 치료의 성패는 복약순응도 달려있습니다
65세 이상 인구 10명 9명은 만성질환자
(복합질환 73%)
(복합질환 73%)
만성질환자 증가 만성적인 약물치료 불가피합니다.
‘복약불순응’ 의료비 증가를 원인이 됩니다.
매일 먹는 건데도,
약 먹는 것을 깜박할 때가 있어요”
고혈압, 당뇨환자의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는 이유
카카오톡 채널 추가로 쉽고 편리하게 AI기술로 똑똑하게 약물치료를 함께합니다
만성질환자 증가 만성적인 약물치료 불가피합니다.
모바일폰으로
AI를 통한 처방전 기록
약물 치료 모니터링
게임화 전략
65세 이상 노인환자에게 약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연간 2,820억원* 편익이 발생합니다
앱을 설치하지 않고 카카오톡 채널 추가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가 시작됩니다.
65세 이상 인구 89.5% 만성질환자로 만성적 약물치료가 요구됩니다
65세 이상 인구 26.2% 1인 가구, 44.2%는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가구 입니다
원하는 고객층 선택하면 사용자의 의료 경로를 분석하여 표적 고객에 최적화된 노출을 제공합니다
늘어나는 예산 만큼 대상자도 늘어나지만 사례관리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변화가 없습니다
사회복지 사례자(65세 이상)의 98%는 코로나19에 취약한 만성질환자입니다.
(주)모노라마 | 대표: 김창호 | 사업자등록번호 : 277-86-00185 |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71길 16 3층 (우)06187
© 2025 Monorama.kr | all rights reserved